본문 바로가기

과학전시물

#16. 식물은 어떤 색을 좋아할까?

식물은 어느색을 좋아할까요? 우리가 한번쯤 꽃집을 보면 분홍색 조명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식물에 분홍색 조명을 조사하는 이유는 바로 식물이 이 색에서 더욱 잘 자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자세히 살펴 볼까요?

1. 빛의 3원색에 대해서 알아보아요.

   빛의 3원색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을 말합니다. 이 세 가지 색을 조합하면 모든 색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빛의 3원색은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는 색으로, 빨강은 긴 파장, 초록은 중간 파장, 파랑은 짧은 파장을 가집니다. 이러한 파장은 빛의 스펙트럼에 의해 결정됩니다.

우리가 보는 모든 색은 이 3원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빨강과 파랑을 섞으면 보라색을 만들 수 있고, 초록과 빨강을 섞으면 노란색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세 가지 색을 모두 섞으면 흰색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빛의 3원색은 컴퓨터 모니터나 TV 등의 화면에서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기들은 빨강, 초록, 파랑의 LED를 사용하여 모든 색을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를 RGB(빨강, 초록, 파랑)색 모델이라고 부릅니다.

빛의 3원색은 우리 주변의 색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색을 조합하는 방법을 이해하면, 그림, 디자인, 인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색을 다루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식물은 어느색에서 잘 자랄까?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적절한 색은 광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파란색과 빨간색입니다. 파란색은 광합성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빨간색은 광합성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화성식물들은 빨간색과 파란색 스펙트럼의 빛에 노출되면 가장 잘 자랍니다. 그러나 초록색, 노란색 및 주황색의 스펙트럼도 일부 식물에게 필요한 스펙트럼입니다.

그리고 자외선(UV)도 일부 식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인공조명 장치는 빨간색과 파란색 LED를 사용하여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3. 식물의 잎이 초록색인 이유

   광합성은 식물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사용해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엽록소라는 녹색색소가 포함된 식물 조직에서 일어나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어납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엽록소는 태양광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분해합니다. 이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전자와 수소 이온들은 탄소와 산소가 결합하여 포도당으로 변환됩니다. 포도당은 식물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광합성 과정에서 생성된 산소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식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산소를 방출하며, 이는 지구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요약하자면, 광합성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사용해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식물이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4. 인공식물재배

   식물 LED는 인공광원으로서, 식물이 필요로 하는 광합성을 위한 파장의 빛을 방출합니다. 일반 조명과 달리, 식물 LED는 파란색과 빨간색 스펙트럼의 빛을 방출하여 광합성과 식물 성장을 촉진합니다.

보통, 식물 LED는 파란색과 빨간색 LED가 조합된 형태로 사용됩니다. 파란색 LED는 광합성을 위한 빛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빨간색 LED는 광합성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식물 성장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식물 LED는 광원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식물에 따라 필요한 빛의 파장과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하려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스펙트럼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식물 LED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조도와 조작 시간을 설정하여 적절한 광합성 및 식물 성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식물 LED는 실내식물, 온실, 수경재배 등에서 많이 사용되며, 인공광원으로서의 효율성과 저전력 소비로 인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https://youtu.be/BUe0JTmTY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