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연 속 과학해설

(35)
#10.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 되는 오목거울 우리눈은 물체에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우리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물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때 물체에서 나온 빛은 우리눈의 망막에 맺히게 되는데 이때 맺히는 상을 대뇌가 인식해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거울은 거울에 비추어진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 주는 데 그 원리는 거울에 비춰진 빛을 그대로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거울이 빛을 반사하지 않는 다면 어둡게 보였을 것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오목거울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오목거울은 거울면이 안으로 들어간 거울을 말합니다. 이 거울의 특징은 사물과의 거리에 따라서 거울에 비추어진 모습이 달라 보인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거울의 오목한 면에 빛이 반사되어 거울의 앞쪽어딘가에 초점을 이루고 이초점을 기준으로 우리의 모습이 크게도 보이고 작..
#9.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수중에서 떠다니는 물체가 자꾸 올라가는 것을 보면, "이게 뭐지?" 싶으시죠? 그것이 부력입니다! 부력은 물체가 물 속에서 받는 상승력으로,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한 물리 현상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 발견은 아르키메데스에게 "유레카(Eureka)"라고 외쳤습니다. 부력의 원리를 이해하면, 수중 장비나 선박, 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력을 이용하 잠수함의 원리와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발견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부력이 어떤 식으로 우리 삶 속에서 작용하는지 재미있게 알아보겠습니다! 1. 부력이란 무엇일까? 부력은 물체가 액체나 기체 안에 있을 때 발생하는 상승력입니다. 이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기반한 현상으로, 물체가 액체나 기체 안에 있을 때 밀도가 높을수록 상승력이 ..
#8. 인류를 풍요롭게 하는 에너지, 전기의 기원 1. 옛날 사람들은 호박에서 전기의 존재를 상상했다? 호박은 정전기 현상에서 전기의 존재를 발견한 것이 아니지만, 오래 전부터 전기와 관련된 연구와 개발에 사용되었습니다. 호박은 고대 시대부터 재료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호박은 도자기나 조각 등의 장식품으로 사용되었으며, 음악 악기나 무기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호박은 전기학 연구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호박은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는 소재로서 전기회로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호박에 금속 재질을 덧대어 전기회로에서 사용하면 전기 저항이 높아져서 전기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호박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 회로의 설계나 전기기기의 개발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호박이 정전기 현상에서 전기의 존재를 발견했다는 주장은 과학사..
#5. 대자연의 경고, 토네이도의 정체 1. 토네이도란 무엇일까요? 토네이도는 거대한 바람의 회오리로, 가끔씩 기상 조건이 이상하게 되면 발생합니다. 토네이도는 매우 강한 바람과 회전하는 모습으로 인해 주변의 모든 것을 휩쓸고 지나가는데, 그 모습은 참으로 끔찍합니다. 그렇다면 토네이도가 어떻게 생겼을까요? 토네이도는 주로 회오리구름에서 발생하는데요. 회오리구름은 아주 큰 구름이며, 하늘에 보면 매우 낮은 위치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러한 회오리구름은 고온다습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고온다습한 곳에서는 공기가 높은 속도로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상승하는 공기와 다른 공기가 충돌할 때, 토네이도와 같은 바람의 회오리가 생긴다고 합니다. 토네이도가 발생할 때는 주변에 있는 것들이 모두 휩쓸리거나 날아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토..
#6. 기후위기를 초래한 화석연료, 이산화탄소 발생의 주범 1. 화석연료란? 화석연료란 지구 깊은 곳에 저장된 오래된 식물과 동물의 유기물이 지반이나 해저에 묻혀 시간이 지나서 압력과 온도 등의 조건이 합쳐져 변화되어 만들어진 에너지원입니다. 주요한 화석연료로는 석유, 천연가스, 석탄이 있습니다. 화석연료는 인류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석유와 천연가스는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와 가스, 그리고 자동차의 연료 등에 사용되며, 석탄은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화석연료는 생산과 사용 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화석연료는 탄소배출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온실가스의 증가로 지구 온도 상승을 초래하고, 대기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 문제도 큰 과제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화석연료 대신 ..